임신 4~7개월, ‘오존’ 노출 많으면 선천성기형아 위험
임신 중 오존 노출이 많으면 선천성 기형아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해요.
오존은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이 자외선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2차 오염물질이라고 하는데요.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는 2008~2013년 출생한 0~6세 선천성 기형 아동 15만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태아 당시 오존 노출이 선천성 기형 발생 위험도를 높이는지 분석했다고 하네요.
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에 따르면 15만명의 대상 아동 중 가장 많은 기형은 심장을 비롯한 순환기계통(24.6%)으로 나타났다고 하며 그 다음으로는 근골격계(22%), 비뇨기계(13.3%)가 뒤를 이었으며 눈·귀·얼굴·목(5.3%)은 가장 낮은 비중을 보였다고 해요.
또 출생 후 내분비 및 대사질환 관련 선천성 기형은 생후 6세 미만에서 대사성질환(22%), 내분비계(6.6%), 갑상선기능저하증(6%) 순으로 나타났다는데요.
오존의 경우, 임신기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달라졌다.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약 0.018ppm 증가될 때마다 임신 중기(4~7개월)에는 태아의 순환기계통 선천성질환 발생 확률이 5.0% 증가했다고 하며 근골격계는 7.1%, 비뇨기계는 11.7% 정도 높아졌다네요. 임신 후기(8~10개월)에는 순환기계통 선천성질환 발생이 4.2%, 근골격계는 3.6%로 높아졌다고 해요.
오존은 출생 후 내분비 및 대사질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대기 오존 농도가 약 0.018ppm 증가할 때마다, 임신 중기의 경우 대사질환관련 선천성기형 발생이 11.7%, 갑상선기능저하증이 9.7%로 높아졌고 임신 후기에는 대사질환관련 선천성기형이 8.2% 증가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오존을 포함해 임신 중 산모가 흡입하고 노출되는 깨끗한 대기 질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됐다”며 “임신 중기 오존 노출이 선천성 기형의 위험도를 높이는 결과를 보여줬다”고 전했다고 하네요.
홍윤철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 센터장은 “임신 중 오존,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원에 노출되면 산화스트레스 등의 영향으로 유산 및 미숙아의 발생률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으며 또 “선천성 기형 발생의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에 대기 오염이 심한 날에는 임신부의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게 좋다”고 권고했다네요. 아울러 “선천성 기형의 원인은 복잡하지만 적절한 예방을 위한 노력과 산전 검사를 통해 어느 정도는 예방이 가능하다”고 했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8월 캐나다에서 개최된 국제 환경역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Environmental Epidemiology)에 포스터 발표됐다.